하루 3분 증시 시황
2025년 4월 15일 한국 증시 마감 시황: 관세 유예 기대에 자동차·조선株 주도
moneyhomelab
2025. 4. 15. 16:38
🇰🇷 2025년 4월 15일 한국 증시 마감 시황: 관세 유예 기대에 자동차·조선株 주도 🚗🚢

2025년 4월 15일, 한국 증시는 관세 유예 기대감과 조선·자동차 업종의 강세를 중심으로 이틀 연속 상승 마감했습니다.
✔️ 코스피: 2,477.41 (+0.88%)
✔️ 코스닥: 711.92 (+0.41%)
외국인은 여전히 순매도를 지속했으나, 기관의 공격적 매수가 시장을 견인했습니다.
📊 투자자별 동향
| 투자자 | 코스피(억원) | 코스닥(억원) |
|---|---|---|
| 외국인 | -4,300 | -1,050 |
| 기관 | +1,829 | +930 |
| 개인 | +1,490 | +172 |
📌 외국인은 13거래일 연속 순매도 행진을 이어갔습니다. 원/달러 환율 상승과 미 국채 금리 상승 영향으로 보이며, 기관은 조선과 자동차 중심으로 선제적 매수에 나섰습니다.
💡 업종별 특징
🚗 자동차 업종 강세
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부품 관세 유예 가능성 보도에 힘입어 자동차 관련주가 급등했습니다.
🔥 미국 내 전기차 생산 확대 협력 기대가 주가 상승을 자극!
🖥️ 반도체 업종, 기대와 우려 공존
AI 관련 중소형주는 외국인 매도세로 하락:
⚓ 조선업종, 수주 기대감 지속
미국 LNG 운반선 추가 발주 소식과 트럼프 해상 인프라 정책 기대에 조선주도 강세를 이어갔습니다.
📌 한국투자증권, "조선업종 2026년 예상 수주량 18% 증가 전망" 발표
💵 환율 & 글로벌 이슈
- 원/달러 환율: 1,425.5원 (+1.4원 상승)
- 국제유가(WTI): 59.38달러 (-0.2%)
- 미국 10년물 국채금리: 4.5% 돌파
미국은 5월 2일부터 일부 반도체 제조 장비 관세(120%) 시행 계획을 재확인하며, 대중 수출기업의 주가에 영향을 주었습니다.
🧠 전문가 코멘트
"관세 유예 기대감이 자동차와 조선 업종에 즉각적인 호재로 작용했으나, 대외 불확실성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. 실적 시즌을 앞두고 변동성 확대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."
📌 시장 전망
1분기 실적 시즌 개막을 앞두고 단기 박스권(2,450~2,500p) 횡보 예상.
특히 반도체 업종은 5월 2일 관세 발표 전까지 변동성 확대에 대비할 필요 있습니다.
🔥 한줄 코멘트
‘기대에 올라타되, 실적 앞두고 방심은 금물!’
※ 본 글은 투자 참고용이며, 최종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.